관리하던 사이트의 네이버 검색 결과에 연관 채널로 인스타그램을 추가하는 미션이 생겼다.
연관 채널은 네이버에서 키워드를 검색했을 때 검색 결과의 사이트 아래쪽에 주르륵 보인다.
위 이미지에서 원스토어, 블로그, 구글 플레이, 앱스토어, 네이버TV가 www.naver.com 의 연관 채널이다.
구글에서는 리치 스니펫이라고 부르는 그것과 동일하다.
네이버 서치 어드바이저에서 제공하는 사이트 연관 채널 등록하는 가이드문서를 참고했다.
https://searchadvisor.naver.com/guide/structured-data-channel
사이트 연관채널
searchadvisor.naver.com
등록하고자 하는 채널이 네이버에서 지원하는 연관채널 도메인에 있는지 확인 필수!
1. 연관채널 등록방법 선택
네이버 검색엔진에게 내 사이트의 연관 채널을 알려주기 위해서는 웹사이트에 구조화된 데이터를 추가해야 하고,
방법으로는 JSON-LD 형식과 Microdata 형식 2가지가 있다.
구글에서 설명하는 구조화된 데이터란,
페이지에 구조화된 데이터를 포함하면 해당 페이지의 확실한 정보를 제공하여 내용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한다.
검색봇이 해당 페이지 전체를 읽지 않아도 구조화된 데이터만으로 페이지의 콘텐츠를 파악할 수 있다- 라고 이해했다.
https://developers.google.com/search/docs/advanced/structured-data/intro-structured-data?hl=ko
구조화된 데이터의 작동 방식 이해하기 | Google 검색 센터 | 문서 | Google Developers
Google에서는 구조화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콘텐츠를 파악합니다. 이 가이드에서 구조화된 데이터의 작동 방식을 살펴보고, 형식을 검토하고, 사이트에서 콘텐츠를 어디에 두어야 하는지 알아보
developers.google.com
JSON-LD, Microdata 모두 schema.org 에 정의된 문법을 사용한다.
schema.org 에는 주요 검색엔진이 이해하는 구조화된 데이터의 문법이 정리되어 있다.
사용 가능한 형식은 Microdata, RDFa, JSON-LD 가 있다고 한다.
JSON-LD는 JSON for Linking Data로 JSON 형식을 사용해서 JavaScript 개체가 HTML에 삽입되어 데이터가 정의되고
Microdata는 직접 HTML 마크업을 추가하여 데이터를 정의한다.
네이버에서는 어느 것을 더 선호하는지 모르겠지만,
구글에서는 JSON-LD 형식을 권장하여 나도 JSON-LD를 사용하기로 했다.
2. 연관 채널 마크업 추가
아래는 네이버 가이드에서 긁어온 내용이다.
schema.org에서 정의한 Person 혹은 Organization을 사용하며 아래와 같은 속성 값을 지정해야 합니다.
속성 필수 여부 설명
name | 필수 | 사이트 이름 |
url | 필수 | 사이트 URL |
sameAs | 필수 | 사이트와 연관된 채널 URL 목록 |
- JSON-LD 형식으로 구현한 예제
{
"@context": "<a href=http://schema.org>http://schema.org</a>",
"@type": "Person",
"name": "My Site Name",
"url": "<a href=http://www.mysite.com>http://www.mysite.com</a>",
"sameAs": [
"<a href=https://www.facebook.com/myfacebook>https://www.facebook.com/myfacebook</a>",
"<a href=http://blog.naver.com/myblog>http://blog.naver.com/myblog</a>",
"<a href=http://storefarm.naver.com/mystore>http://storefarm.naver.com/mystore</a>"
]
}
내가 수정하는 웹사이트는 회사의 사이트여서 @type은 Organization으로 입력했다.
name, url과 sameAs는 필요한 정보들을 입력했다.
사이트의 루트 페이지에 구조화 데이터를 넣으라고 되어있어서
메인 페이지에만 해당 코드를 추가했다.
3. 연관 채널 등록 확인
그리고 기다렸다.
일주일, 이주일, 한 달...
아무리 시간이 지나도 네이버 검색 결과에 연관 채널이 안 보인다.
당시의 상황은 이러했다.
- 웹마스터에 들어가면 검색로봇에게 크롤링을 요청하는 다른 기능이 있지 않을까? : 회사의 네이버 계정에 접근이 불가능하여 웹마스터에 로그인 불가.
- 등록하고자 하는 채널에 문제가 있는가? : 동일한 인스타그램이 다른 계열사의 검색 결과에는 연관 채널로 잘 보임. 문제없음.
한 달 하고 일주일이 지나서야 서치 어드바이저 고객센터를 알게 되었다. (찾기 너무 어려웠어 ㅠㅠ)
https://help.naver.com/service/30010/contents/17673?osType=PC&lang=ko
[사이트 노출 방법] : 서치어드바이저 고객센터
사이트는 검색로봇에 의해 자동으로 수집되어 검색 결과에 반영됩니다.기존에 검색에 노출되었으나 갑자기 검색에 나오지 않는다면 아래 내용을 확인하세요.1. 내 사이트가 검색 결과에 노
help.naver.com
해당 사이트는 '1. 내 사이트가 검색 결과에 노출되고 있는지 확인하기'는 통과했다.
그래서 '3. 설정 변경 후에도 검색되지 않는 경우'를 통해 사이트 미노출 제보를 했다.
URL과 요청 사유를 입력하고 문의하기를 마쳤다.
그리고 다음날!
네이버에 검색 결과에 드디어 인스타그램이 보인다. 야호!!!!!!
문의하기 한 이후에 바로 적용된 걸 보면 사이트가 수정된 것을 봇이 몰라서 못 긁어갔었나 보다ㅠㅠ
이렇게 연관 채널 등록기 마무으리.
'기타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3/2 현황] 인터넷 익스플로러(IE)에서 YouTube 지원 종료 적용 어떻게 되었나? (0) | 2020.03.02 |
---|---|
3월부터 인터넷 익스플로러(IE)에서 YouTube 지원 종료 공지 (0) | 2020.02.27 |